> 코인 초보자 가이드

RWA (실물 자산)이란?

2024-11-21

Comments

RWA (Real-World Asset, 실물 자산)이란?

RWA(Real-World Asset)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자산(부동산, 금, 주식 등)을 디지털로 변환해 블록체인 상에서 관리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 기존의 실물 자산을 디지털 토큰으로 바꾸어 누구나 쉽게 거래하거나 소유권을 가질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과거에는 일부 부유층이나 기관만 투자할 수 있었던 자산을 더 많은 사람들이 소액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RWA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예시

부동산의 디지털화


부동산 한 채를 구입하려면 큰 금액이 필요하고, 소유권을 나누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부동산 한 채를 1,000개의 디지털 토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위치한 10억 원짜리 건물을 토큰화해 1개의 토큰당 10만 원의 가치를 부여한다면, 투자자들은 10만 원만으로도 건물 소유권의 일부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술품


고가의 그림이나 조각품을 디지털화하면, 소유권을 여러 사람에게 분할 판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억 원짜리 그림을 1억 개의 토큰으로 나눠 1개당 100원으로 판매할 수 있습니다.


RWA가 중요한 이유

1. 투자의 접근성 확대


과거에는 특정 계층만 접근할 수 있었던 고가의 자산(부동산, 미술품 등)에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2. 유동성 증가


실물 자산은 보통 즉각적인 거래가 어렵습니다(예: 부동산은 매매에 몇 주에서 몇 달이 소요됨). RWA는 이러한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게 만들어 유동성을 높입니다.


3. 투명성과 신뢰성 제공


블록체인은 거래 내역이 모두 기록되고 누구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의 불투명한 구조를 해결해줍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토큰을 구매할 때 해당 부동산이 실제로 존재하며, 적법한 소유권을 보장받는지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비용 절감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에서는 중개인(부동산 중개사, 은행 등)이 수수료를 가져갑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중개 과정을 제거해 비용을 절감합니다.


대표적인 RWA 플랫폼과 코인

1. 체인링크(Chainlink, LINK)


디앱과 스마트 컨트랙트에 실물 데이터를 연계하는 RWA 산업의 핵심 인프라.


기존 오프라인 시스템과 블록체인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을 보호.


2. 메이커(Maker, MKR)


부동산 담보를 통한 DAI 스테이블코인 발행으로 RWA 활용 확대.


실물 자산으로 다각화하여 미국 국채 및 회사채를 담보로 활용.


3.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 ONDO)


국채, 회사채 등 저위험 자산을 블록체인에서 토큰화.


투자자에게 고수익 옵션(예: 하이일드 회사채 펀드)과 안정적인 미국 국채를 제공


4. 알고랜드(Algorand, ALGO)


예술, 음악, 문학,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의 토큰화.


예술가와 창작자를 위한 토큰화 프로세스 간소화.


5. 폴리매쉬(Polymesh, POLYX)


규제 준수에 중점을 둔 증권형 자산 토큰화 플랫폼.


주식, 채권, ETF 등 규제 대상 자산에 특화된 블록체인 프로토콜.